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hr애널리틱스
- HRA
- ChatGPT
- PA201
- people analytics
- 하나만 쓰자..
- 회귀분석
- HR대시보드
- 태그도 많이 치는거 힘들다..
- HR Anlaytics
- HR데이터
- HR 애널리틱스
- 자기소개서 스크리닝
- 유사도분석
-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
- 피플 애널리틱스
- Text mining
- HR
- survival analytics
- 피플애널리틱스
- 인사데이터
- Talent Analytics
- Pa
- 성장혼합모형
- 데이터분석
- LDA Topic Modeling
- HR 데이터 분석
- Workforce Analytics
- HR Analytics
- PA 미래
- Today
- Total
PA201: People Analytics 201
[기록] 주요 스터디 아젠다 (2022. 9. ~ 현재) 본문
아래는 지금까지 논의한 스터디 아젠다 및 논의 대상을 리스트업한 것이다. HR 특성상 공개가 어려운 주제가 많기도 하고 2년간 정말 많은 내용을 스터디 했기 때문에 공개가 가능한 선에서 주요 아젠다와 논의 대상을 정리해보았다(24. 9. 9. Updated).
[주요 분석주제]
- 효과적인 채용을 위한 HR 지표와 대시보드 구성
- 채용경로 별 효율성 상관분석 및 채용성과/업무적합성 분석
- 코멘트 유사도 조직 네트워크 분석
- 성장혼합모형(GMM)을 적용한 채용
- AI 영상면접 타당성 검토
- 휴가-생산성 간 상관관계 분석
- 출퇴근거리에 따른 조기퇴직 확률 분석
- 코호트 분석을 통한 직원 리텐션 및 이탈률 확인
- 채용 시 역량검사 데이터와 채용이후 성과평가 데이터의 상관관계 분석
- 기업리뷰데이터 토픽모델링
- Silo 현상 감소를 위한 협업문화 구축을 위한 네트워크 분석
- 퇴직 및 Retention(리텐션 보너스) 분석
[북 리뷰]
문제해결 중심의 People Analytics : 자료분석 편
https://www.aladin.co.kr/shop/wproduct.aspx?ItemId=273042749
문제해결 중심의 People Analytics : 자료분석 편
최근 People Analytics의 중요성이 강조되고, 국내외 유수의 기업들이 선진적으로 이를 도입하고자 노력하고 있다. 이에 발맞춰 실제 어떻게 구인을 측정하고 자료를 수집해야 하는지, 이 자료를 어
www.aladin.co.kr
데이터 드리븐 리포트
https://www.aladin.co.kr/shop/wproduct.aspx?ItemId=327643950
데이터 드리븐 리포트
경험 또는 직관만으로 의사결정자나 이해관계자를 설득할 확률은 0%에 가깝다. 상사나 고객을 설득하려면 데이터에 기반하여 소통해야 한다. 이 책은 데이터 분석을 실무적으로 다루며 방대한
www.aladin.co.kr
데이터는 예측하지 않는다
https://www.aladin.co.kr/shop/wproduct.aspx?ItemId=330618651
데이터는 예측하지 않는다
좋은 습관 시리즈 36권. 데이터로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사람들 그리고 데이터로 의사결정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을 위한 책이 나왔다. 이 책은 우리가 알고 있던 데이터에 대한
www.aladin.co.kr
[페이퍼]
Giermindl, L. M., Strich, F., Christ, O., Leicht-Deobald, U., & Redzepi, A. (2021). The dark sides of people analytics: reviewing the perils for organisations and employees. European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, 31(3), 410–435. https://doi.org/10.1080/0960085X.2021.1927213
Busenbark, J. R., Graffin, S. D., Campbell, R. J., & Lee, E. Y. (2022). A Marginal Effects Approach to Interpreting Main Effects and Moderation.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, 25(1), 147-169. https://doi.org/10.1177/1094428120976838
[아티클]
https://www.abouthr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6290
밑바닥부터 시작하는 HR Analytics - 월간 인재경영
CJ대한통운과 HR Analytics최근 HR Analytics(이하 HRA)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지고 있다. 개인적으로 이러한 현상은 AI와 빅데이터 기술의 진보에 따른 자연스러운 흐름이라고 생각되며, 앞으로 HR 일상
www.abouthr.co.kr
'People Insight > PA201 스터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R이 '피플 애널리틱스(People Analytics)'를 하면 안되는 5가지 이유 (0) | 2024.04.21 |
---|---|
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(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) 개념 소개 (0) | 2024.02.14 |
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(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)으로 분류 모델 만들어보기 (0) | 2024.02.04 |
HR 장면에서의 생존분석 (0) | 2024.01.20 |
People Analytics를 위한 기초 회귀분석 (0) | 2024.01.20 |